본문 바로가기

ecology/이론

개체군생태학, 류문일 이준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년




개체군생태학, 류문일 이준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년



제1장 개체군의 개념 및 특성


1.1 개체군의 개념

1.2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



제2장 개체군의 성장


2.1 기본 성장형

2.2 성장형의 변이

2.3 환경과 개체군의 성장

2.4 개체군 성장의 분석

2.5 단일 개체군 동태의 이론모형



제3장 개체군의 진화


3.1 접근 방향

3.2 자원 및 에너지 획득

3.3 에너지 할당

3.4 생활사 특성



제4장 개체군간 상호작용과 공진화


4.1 종간경쟁

4.2 식물과 식식자간의 상호작용

4.3 포식자와 피식자(기생자와 기주) 개체군간의 상호작용

4.4 공생

4.5 군집의 형성



제5장 개체군 밀도변동, 조절 및 안정


5.1 서론

5.2 새체군의 밀도변동, 조절 및 안정의 개념

5.3 개체군의 밀도조절에 대한 이론

5.4 논의의 종합과 과제



제6장 개체군생태학의 응용


6.1 생물적 방제

6.2 생물생산의 최적화

6.3 개체군 보전생물학



제7장 솔잎혹파리 개체군생태학


7.1 서론

7.2 생활사

7.3 개체군 생명표

7.4 소나무와 솔잎혹파리의 상호작용

7.5 솔잎혹파리와 천적의 상호작용

7.6 솔잎혹파이 개체군 연구에서의 과제

7.7 결론


NIBR



gene pool, local population, multipartite population

evolutionary unit, selection pressuer

demographic unit


절대밀도 조사법

전수조사

방형구법

표지-재포획법

최근거리 추정법

상대밀도 조사법

트랩

활동흔적

빈도조사

설문조사

피도조사


regular, random, contagious pattern

exponential, logistic (sigmoid) growth

limiting factor, law of minimum, law of tolerance

개체군이 안정적으로 존속하는 최적범위

개체군이 존속하는 차적범위

부분적으로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 개체군의 분포가 부분적으로 가능한 지역

환경이 부적절하여 개체군의 족속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주개체군에 의한 일시적인 분포를 보이는 범위

개체군의 성장모형: 세대중복 개체군

특정한 시간에서의 개체군 밀도의 변화율은 개체군을 구성하는 개체가 동일한 질을 공유한다는 가정에서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방정식에서부터 개체군의 밀도변화를 추정할 수가 있다. 개체군 밀도의 변화율은 자원의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개체군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형적인 지수함수적 증가를 보인다. 그러나 실제 생태계에서 개체군의 밀도는 지수함수적인 무한증가를 계속할 수가 없다. 자원이 무한하지 않는 이상 밀도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자원의 감소와 악화를 동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족해진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개체군내 개체간 경쟁, 종내경쟁이 커지게 된다. 종내경쟁은 경쟁에서 패하는 개체의 도태를 야기하고 이에 따라 개체군 밀도증가율이 낮아지며 결국 자원의 허용범위에서 밀도의 정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개체군이 존재하는 환경이 안정되어 있고 자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진다면 개체군의 성장은 개체군의 내적자연증가율과 종내경쟁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환경수용력 결정. environmental capacity. 지수함수적 증가와 로지스틱 증가간에 나타나는 밀도의 차이는 환경에 의해서 나타나는 저항을 지시한다는 의미에서 환경저항이라 한다. environmental resistance. 로지스틱 증가현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체군 내의 모든 개체가 동일한 유전자를 지니며 동일한 과정을 가진다는 전제, 그리고 개체군이 안정연령분포를 하고 있으며 밀도반응이 즉시적이라는 가정이 성립되어야 한다. 

개체군의 성장모형: 비중복세대 개체군

실제로 개체군의 발전은 불연속적이며 과거의 상황이 시간간격을 두고 현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이 보다 질제적이다. 미분방정식의 모형이 즉시적이라면 계차방정식 모형은 이러한 시간지체를 현실화한 모형이다. 본질적으로는 미분방정식과 동일한 가정위에 서 있으며 따라서 개체군의 밀도를 추정함에 있어서 본질적 차이를 지니지 않는다. 

행렬모형: 상이한 연령군으로 구성된 개체군

확률모형

개체군을 구성하는 개체들의 출생 또는 사망은 확률적현상이므로 초기밀도가 동일한 경우에도 차기 개체군 밀도와 그 변동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초기조건이 주어질 경우 차기 개체군의 밀도는 그 자신 확률변수가 되며 확률분포를 이루게 된다. 







'ecology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utral theory of molecular evolution  (0) 2016.11.10
cf. aff. spp. sp. ssp 의 의미  (1) 2015.02.09
conservation genetics  (0) 2014.11.19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mitochondrial gene  (0) 2014.06.19
phylogenetics  (0) 2014.06.03
infinite alleles model,  (3) 2013.07.17
F-statistics  (0) 2012.11.04
어류의 성  (0) 2012.07.10
Enrichment 방법을 이용한 Microsatellite 개발,  (0) 2012.06.20
R/D RATIO  (0) 201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