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식생의 연속체설과 서열기법의 발전,

김준호 저, 한국 생태학 100년 중, 일부 발췌


미국의 Clements, F.E(1926)는 식물군락을 종이 결합한 복잡한 유기체 organismic metaphor 라고 인식하였다.
복잡한 유기체는 마치 한 생물체처럼 생장하고 성숙하며 죽는 실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 착상은 거의 반세기 동안 미국 생태학계를 풍미하였다.

Gleason, H.A.(1926)는 식물군락을 명확한 단위성을 가지는 유기체가 아니고 군락 구성종이 분포역의 환경구배에 따라 변하여
각 종마다 개별성 individualistic concept을 가진다는 식생연속체설 vegetational continuum theory을 주장하였다.
이 이론은 발표 당시에는 검정되지 않았지만, 그의 착상은 1950년대 이후 식생학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Gleason의 착상을 염두에 둔 Cottam. G.(1949) 및 Curtis, J.T.와 McIntosh, R.P.(1950,1951)는 자연림에서, Braun-Blanquet법과는 달리
추이대 ecotone 까지 포함하여 객관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종의 상대밀도와 상대빈도에서 주요치를 계산한 다음
주도우점종 leading dominant 의 순위로부터 연속지수 continuum index 를 계산하고, 
주요치와 연속지수 사이에 매끄러운 Gaussian형 곡선을 나타내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Gleason의 개별설에 따라 각 종이 일정한 분포역을 가짐을 증명하였다.

Bray, J.R.과 Curtis, J.T.(1957)는 군락 구성종의 수도 또는 주요치를 척도로 하여 종의 무리를 정량적으로 분류하는 새로운 방법, 곧 서열기법 ordination technique 을 개발하였다.
이 기법은 종전의 방법에 비하여 다변량적(multivariate)이고, 종의 무리를 유사도지수(similarity index)를 척도로 하여 좌표의 축에 따라 배열한다. 

더 나아가 Curtis, J.T.는 McIntosh, R.P.(1950,1951)와 함께 위스콘신 주의 식생을 연구하여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discriminant analysis(D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등 서열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들 기법은 종조성을 기초로 하여 식물군락의 n-차원의 공간아서 서열을 매기게 되는데, 지극히 도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다변량분석과 통계기법을 생태학에 도입한 공이 크다.



복잡한 유기체 organismic metaphor
식생연속체설 vegetational continuum theory
서열기법 ordination technique  - PCA, DA, DCA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q-values  (0) 2016.11.29
MDS PCA PCOA  (0) 2016.11.23
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sensitivity, specificity  (1) 2013.05.08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0) 2012.06.22
베이지안 모델,  (0) 2012.05.11
마르코프 연쇄, Markov chain  (0) 2011.12.15
time series, 시계열 분석  (0) 2011.11.18
Sørensen similarity index  (1) 2011.11.11
스크랩) 이 땅, 통계학의 오늘1 - 최종후  (0) 2011.11.10
[Biological Statistics] ANOVA, in SPSS  (0) 2009.10.14